본문 바로가기

뉴스정리📰

미성년 자녀 1억 증여세 절세 방법과 어린이 펀드·ETF 장기투자 전략

by 동굴이 @뒹굴뒹굴@ 2025. 6. 1.

반응형

 

미성년 자녀 1억 증여 시 증여세 절세 방법과 어린이 펀드, ETF를 활용한 장기 투자 전략

자녀에게 1억 증여하고 세금 0원? 복리와 투자 습관이 만드는 ‘진짜 유산’

 

험난한 세상을 마주할 자녀에게 한 푼이라도 더 물려주고 싶은 부모가 많습니다. 하지만 무작정 한꺼번에 큰 금액을 증여한다면 생각지 못한 세금 고지서를 받을 수 있죠. 그렇다고 증여만 해놓고 어떤 투자도 하지 않으면, 자녀가 성인이 됐을 때 물가 상승으로 인해 실질 자산가치가 크게 떨어질 수 있습니다.

 

반대로 적은 금액이라도 일찍 증여하여 오랜 기간 투자하면, 자녀의 경제적 기반을 탄탄하게 하는 든든한 버팀목이 될 수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해 주식시장에 장기적립식으로 투자하는 것이 저비용으로 높은 수익률을 얻는 현명한 방법이라고 조언합니다.

30년간 최대 1억 4천만원 비과세 증여가 가능한 ‘숨은 꿀팁’

자녀 출생 직후부터 증여를 시작하면, 만 31세가 될 때까지 최대 1억 4천만 원까지 증여세 없이 자산을 물려줄 수 있습니다. 미성년 자녀에게는 10년마다 2천만 원씩, 만 19세 이상 성년 자녀에게는 10년마다 5천만 원씩 증여재산공제 한도가 주어지기 때문입니다.

 

중요한 점은 10년마다 공제 한도가 초기화된다는 사실입니다. 즉, 자녀가 어릴 때부터 증여를 시작하면 받을 수 있는 비과세 혜택이 점점 누적되어, 장기적으로 훨씬 많은 금액을 세금 없이 증여할 수 있습니다.

 

또한, 비과세 한도는 증여를 하는 사람이 아니라 받는 사람을 기준으로 하며, 부모뿐 아니라 조부모까지 포함됩니다. 예를 들어, 미성년 자녀에게 부모와 조부모가 합산해 10년마다 최대 2천만 원까지 세금 없이 증여가 가능합니다.

 

비과세 한도 내의 금액이라도 증여세 신고는 반드시 해야 하며, 신고 시점이 10년 단위 기간 계산 기준이라는 점도 꼭 기억해야 합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나중에 자녀가 해당 금액을 인출하는 시점에 증여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니 주의가 필요합니다.

묵혀두지 말고 ‘장기적립식 투자’로 복리의 마법 누리기

단순히 돈을 물려주는 데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증여한 돈을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훨씬 중요합니다. 지난 20년간 한국의 물가는 약 56% 상승했는데, 2005년생 자녀에게 출생 직후 2천만 원을 증여했지만 투자하지 않고 그대로 두면, 20년 후에는 실질 구매력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 수 있다는 뜻입니다.

 

투자를 병행하면 이야기는 달라집니다. 예를 들어 2천만 원을 연평균 5% 수익률로 20년간 투자하면, 약 5,306만 원으로 불어나 실질 자산가치도 지킬 수 있습니다. 수익률이 1%포인트만 더 높아져도 약 1,100만 원 이상 더 불어나는 복리 효과를 누릴 수 있죠.

 

목돈을 한 번에 증여하기 부담스럽다면 ‘유기정기금 증여제도’를 활용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미성년 자녀에게 매월 19만 원씩 10년간 증여할 경우, 할인율 적용으로 실제 가치는 약 2,003만 원이 되어 비과세 한도를 초과하지 않으면서도 약 280만 원을 더 증여할 수 있습니다.

ETF로 ‘저비용 분산 투자’하며 안정적인 성장 추구

전문가들은 ETF를 활용한 장기적립식 투자를 추천합니다. ETF는 다양한 자산에 분산투자해 변동성을 줄이고, 개별 주식보다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낮은 수수료도 큰 장점입니다.

 

특히, 미국 대표지수인 S&P500 ETF는 2005년부터 20년간 연평균 10.23%라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꾸준히 우상향해온 투자처입니다. 삼성자산운용 자료에 따르면, 매월 10만 원씩 20년간 투자 시 원금 약 4,860만 원이 2억 9,400만 원으로 6배 이상 불어납니다.

‘어린이 펀드’와 ‘타깃데이트펀드’로 자녀 재테크 더 똑똑하게

최근 자녀에게 목돈을 마련해주기 위한 ‘어린이 펀드’ 가입자가 꾸준히 늘고 있습니다. 국내외 우량주 중심 포트폴리오로 장기 투자에 적합하며, 5년 평균 수익률이 53%에 이르는 상품도 있습니다.

 

특히 미래에셋우리아이3억만들기증권자투자신탁 같은 대형 어린이 펀드는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등 우량주에 투자하며 안정적인 성과를 보여줍니다.

 

또한, 생애주기에 맞춰 위험자산과 안전자산 비중을 조절하는 타깃데이트펀드(TDF)도 주목받고 있습니다. 미래에셋우리아이TDF2035는 자녀가 성인이 될 때까지 글로벌 주식과 채권에 장기 투자하는 상품입니다.

미성년 자녀 명의 미국 주식 및 ETF 투자도 인기

미국 빅테크 기업인 테슬라, 팰런티어 등 장기 성장 가능성이 높은 종목에 투자하는 사례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NH투자증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미성년자 고객 계좌에서 테슬라가 가장 많이 순매수된 종목 1위를 차지했으며, 팰런티어도 상위권에 올랐습니다.


💬 개인적 생각 :

이렇게 좋은 제도가 있는데도 몰라서 혹은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몰라서 챙겨주지 못하는 부모님들이 많습니다.

물론 누구나 쉽지 않은 결정이겠지만, ‘작은 시작’이 ‘큰 차이’를 만듭니다. 조금씩 꾸준히 시작한다면, 미래의 우리 아이에게 정말 든든한 경제적 버팀목을 선물할 수 있겠죠?

 

그동안 미뤄왔던 자녀 재테크 계획, 이번 기회에 한번 꼼꼼히 살펴보시길 권해드립니다.

 

 

 

 

 

※ 본 콘텐츠는 특정 금융상품이나 기관의 홍보 및 비방 목적이 없으며, 자녀 증여와 투자 관련 유익한 정보 제공사회적 관심사 공유를 위해 작성되었습니다.

 

 

 

 

 

“Discover effective minor child gift tax exemption strategies combined with long-term ETF investment plans to build sustainable wealth for your children.” #GiftTaxExemption #ChildInvestment #ETFForKids #LongTermWealth #TaxEfficientGifting #MinorChildFinance

#자녀증여 #복리투자 #어린이펀드 #ETF투자 #자녀재테크 #미국ETF #S&P500 #타깃데이트펀드 #부모재테크 #세금절세
반응형